서론
- 본 가이드는 2강까지 먼저 수강을 하신 상태에서 참고하시길 바랍니다. 1강에서는 원하는 대로 자유롭게 공부해보세요.
- 통계학은 공부하기 매우 까다로운 과목입니다. 다루는 수학 개념들이 대부분 추상적이며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. 따라서 하나의 개념을 이해하지 못하면 그 개념이 떠받치고 있는 몇 십개의 후행 개념 또한 같이 악영향을 받게 됩니다. 따라서 개념의 복습이 모든 공부에 있어 선행되어야 합니다.
- 이는 통계학에서 무언가를 다룰 때 사용되는 확률변수와 확률분포 개념의 추상적인 구조에서 기인하는 것으로, 거의 대부분의 개념에 확률변수와 분포가 쓰이기 때문에 이러한 추상성을 피할 수는 없습니다. 가령, $p_X(x)$ 는 단순한 함수가 아니라, 확률변수 $X$가 값 $x$을 취할 확률을 의미하고, 그 확률 자체는 확률실험과 표본공간에서 유도가 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. 이러한 구조에 대한 정확한 이해 없이 뭔가를 배우려는 시도는 오개념과 맹목적인 암기로 귀결됩니다.
![[확률변수] 우리는 기본 단위부터 달라](https://prod-files-secure.s3.us-west-2.amazonaws.com/55374993-7519-4661-8ddc-3bb9597368a7/5923d3fd-e275-42d4-b4ff-fb4cf1b3a55c/image.png)
[확률변수] 우리는 기본 단위부터 달라
- 단순히 문제를 푸는 것만으로는 개념 복습이 되지 않습니다. 문제의 답을 맞췄다고 해서 해당 개념을 이해했다고 보기 어려우며, 답을 맞추는 게 아니라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목적인 경우가 대부분인 통계학에서는 이해 없이 답 맞추는 스킬이 증가하는 것은 오히려 역효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- 강의에서는 이러한 점을 항상 강조하고 있으며, 추상적인 개념을 먼저 예시와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를 도와드리고, 일반적인 경우로의 확장하여 정의/정리/명제의 의미에 대해서 이해시켜 드리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.
- 그러나 단순히 강의를 듣는 것만으로는 충분히 이해가 될 수 없으며, 본인이 스스로 복습을 해야지만 제대로 된 이해가 가능합니다. 이는 기존 합격자들 포함 절대 다수의 학생에게 해당됩니다. 이 때의 복습은 문제를 푸는 것과 전혀 다른 것으로, 강의에서 다룬 개념들의 의미를 파악하고 설명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
[개념공부] 남이 하는 것을 관람만 해서는 잘해질 수 없는 법
[개념공부] 남이 하는 것을 관람만 해서는 잘해질 수 없는 법
- 많은 분들이 공식을 암기하고 공식을 이용해 답을 맞추는 법에 대해서는 충분히 경험을 해본 반면, 어떤 개념을 수학적으로 사고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경험이 거의 없습니다.
- 따라서 개념 공부를 어떤식으로 해야 되는지 지침과 예시를 통해서 여러분께 도움을 드리기 위해 가이드를 작성하게 되었습니다.
- 부디 꼼꼼히 읽어보시고 적혀있는 대로 그대로 따라해보시길 바랍니다.
개념 복습 가이드라인
- 강의의 제목을 읽어봅니다. 해당 강의에서 어떤 개념들이 다뤄지고 각각 얼마만큼 설명되었는지 떠올려봅니다.
- 정의는 다음과 같이 복습합니다.
- [인식 단계] 강의노트를 보고 정의를 그대로 100% 똑같이 베껴서 씁니다.
- [구체화 단계] 강의의 설명이나 예시를 정의와 대조하며 의미에 가까워지려고 노력합니다.
- [추상화 단계] 정의를 직접 적고 설명해봅니다. 구체화 단계에서의 특정한 예시를 벗어나서 정의 그 자체를 이해할 수 있도록 공부하는 단계입니다.
- [적용 단계] 문제풀이 과제에서 관련 개념을 찾아서 배운 내용을 적용합니다.